본 논문에서는 문화와 성격의
연관성 측정 연구의 최근 동향에 대해 알아본다.
인간의 기존 성격 측정(imported measures of personality)에 있어 측정 등가를 세우는 것에 초점을 맞추는 ‘Etic 접근’ 및
특정 문화 속에서 성격의 역할을 연구하는 ‘Emic 접근’(고유한 접근)과 성격에 대한 ‘Etic과 Emic 통합적 접근’ 등 세 가지 접근방식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 말하는 ‘Etic과 Emic 통합적 접근’이란 ‘Etic 접근’의 방법론적 규율(methodological
rigor)과 ‘Emic 접근’의 문화적 민감성을 결합시킨 접근법으로, 본 논문은 중국 문화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문화를 기반한 두 가지 예를 소개하고 있다. 본 연구 말미에서는 문화와 성격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및 과학으로서의 심리학을 위한 ‘Etic과 Emic 통합적 접근’의 이론적∙실용적 의미를 논한다.
성격과 문화적 배경의 연관성
연구에 있어 오랜 난제는 유형적, 구조적인 면에서 보편성을 찾는 것과 문화적, 상황적 차이점으로 인해 성격이 확연하게 다르게 나타나는 것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성격과 문화 간의 상관관계를
보는 방법에는 주로 두 가지 관점이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문화 간 성격을 측정 비교하는 것으로, 이러한 비교 연구를 ‘Etic 연구’라 부른다.(Pike, 1967) 일반적으로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성격 구조가 어느 정도의 다문화적 불변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연구하면서
이미 서구 국가에서 만들어진 성격 표본의 보편성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두 번째 방법은 특별한 문화적인 배경에서 성격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 것으로 이를 Etic 연구라 칭한다. 성격 및 감정 표현 규칙, 특별한 적응 방식, 삶의 의미(Cheung, 2009a)와 같은 단일 심리 영역에서도
문화가 다양한 수준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의견이 우세하다.(McAdams &
Pals, 2006) 문화적으로 포용적이고 통합적인 모델 속에서 성격의 역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심도 있는 연구와 앞서 언급된 ‘Etic 접근’과 ‘Emic 접근’의 다양한 문헌과 방법론을 통합한, 일명 ‘Etic과 Emic 통합적 접근’을 세 번째 방법으로 포함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 논문의 입장이다.
본 논문의 서론에서는 상기 언급된 세 가지 접근방식이 나오게 된 역사적
배경과 세 가지 접근의 강점과 한계를 짚어보고, 본론에서 중국과 남아프리카의 두 예를 통해 ‘Etic과 Emic 통합적 접근’에 대해
알아본 후, 결론 부분에서는 향후 연구와 실행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20151027
원문읽기
No comments:
Post a Comment